'세월호'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15.04.28 [퍼온글]전선의하나님_가나
  2. 2015.04.05 [공유]“세월호 가족한테 ‘슬픔 벗어나라’ 쉽게 말하지 마라”_한겨레기사

[퍼온글]전선의하나님_가나

Studying/etc.. 2015. 4. 28. 09:32

416


신과 교제하지 않는 사람과 나의 신 이야기를 하는게 가장 재밌다. 어젯밤에 그 재밌는 시간을 보내다 문득 왜 제도권 교회에서 '전지''전능'은 자유롭게 쓰면서 '전선'은 회피하는가 궁금해졌다. 물론 신실하신 하나님, 선하신 우리 주님, 이런 고백은 하지만 교회 안에서 '전선하신 하나님' 이런 표현을 들어본 적 없다.

워딩이 너무 세다. 하나님이 전선하시다기엔 이해할 수 없는, 받아들일 수 없는 일이 너무 많다. 세월호가 그렇다. 1년 전 이 날 밤, 나는 엉엉 울며 기도했다. 물에 잠긴 아이들을 살려달라고. 주님은 아무 대답이 없으셨다.

여전히 믿는다. 이 일이 왜 일어났는지 주님은 다 알고 계시며, 남겨진 유족들의 찢어진 마음도 다 아신다고(전지). 지금 당장 말씀 한 마디로 저 바닷속 깊이 잠긴 세월호를 들어올리실 수 있으며, 죽은 아이들도 다시 살리실 수 있다고(전능). 문제는 전선이다. 다 아시면서, 다 하실 수 있으시면서, 왜 가만히 계시나요 주님. 주님 정말 선하시기에 그러고 계시나요?

내가 아는 나의 신은 전선하시다. 내가 만난 나의 신도 그러하고, 내가 믿는 나의 신도 그러하다. 그러면 나는 이 현상과 지식, 현상과 개인적인 경험, 현상과 믿음 사이의 괴리를 어떻게 극복해야하나. 지식과 개인적 경험과 믿음을 포기하는 것이 더 쉽게 느껴져 신을 떠난 사람을 여럿 봤다.

다 뜻이 있겠지, 기도합시다. 이런 고백은 당사자의 입에서 나온 자발적인 고백이어야 한다. 교회의, 믿는 제3자의 저런 부추김은 무책임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신뢰도 아니다. 합리화다. 그 합리화에 복음과 진리가 무의미해진 것이 인간이 써온 역사다.

(사족이긴 하지만) 어느 박사님께서 성완종이 너무 불쌍하다셨다. 정치인 비리야 하루이틀 아니니까 논외로 친다 하더라도, 검찰이 왜하필 성완종을 찍었겠냐는 거다. 성완종은 왜 극단적으로 자살했겠냐고. 몰랐는데, 그는 국민학교 중퇴였단다. 국퇴가 대기업 회장이 되기까지의 인생역고도 말할 것 없지만, 결국 정치인들이 돈 받으면서도 속으로는 '어디서 듣보잡이 와서 돈**한다' 하지 않았겠냐고. 검찰에게도 제일 만만한 사람은 성완종이었다. 자기 사람이라 생각했던 수많은 정치인들이 청와대 지시 사항이라 어쩔 수 없다며 궁색하게 돌아섰을 때 그가 느낀그 배신감. 그게 결국 자살로 몰고갔다는 것이다. 당신은 그게 제일 더럽게 느껴진다고.

이 더러운 나라에 사는 우리 모두에게, 이 더러운 세상에 사는 인간에게 매일매일 새로운 하루가 주어진다. 그 더러움 속에 뒹굴며 더럽게 살라고 주어진 하루는 아닐테다. 날마다 주어지는 새 날은 인간에게 허락된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 그 더러움을 자각할 기회. 신 앞에 나와 회개할 기회. 신의 뜻을 깨닫고 더러운 세상을 신의 뜻대로 정케 할 기회. 고아와 과부를 돌보고, 우는 자와 함께 울며, 사탄의 방법과 권세에 맞설 기회.

그 기회를 날마다 새롭게 허락하시는게 내 하나님의 전선이라 믿는다.

잊지 않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기억하면서도, 알면서도 뜻대로 살지 않는 수많은 크리스챤이 신의 선함을 매도해 왔다. 선하신 우리 하나님은 오늘 같은 날 비를 내리며 함께 우시는 당신의 마음를 보이셨다. 지금은 그쳤다. 비가 그친 지금부터라도 뜻대로 살고, 행동하고, 함께하는 것이 신의 전선을 매도하지 않는 유일한 길이라 생각한다.

'Study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0) 2014.03.25
:

[공유]“세월호 가족한테 ‘슬픔 벗어나라’ 쉽게 말하지 마라”_한겨레기사

Studying/사회학적- 2015. 4. 5. 01:46

기사원문 :

http://www.hani.co.kr/arti/society/religious/639113.html


한겨레 기사.

함께슬퍼하라.

중보기도의 핵심.



“세월호 가족한테 ‘슬픔 벗어나라’ 쉽게 말하지 마라”


26일 낮 서울 광화문의 한 카페에서 기자들과 만난 니컬러스 월터스토프 예일대 신학대학 명예교수의 뒤로 세월호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란 리본들이 보인다. 그는 가슴에 노란 리본을 스스로 달고 나왔다.
[한겨레 ] 세계적인 기독교 철학자
월터스토프 예일대 교수
“세월호 희생자 가족들에게 ‘슬픔에서 벗어나라’고 얘기하지 마라. ‘괜찮다’고도 마라. 그들은 절대 괜찮치 않다. 괜찮을 수가 없다는 것을 먼저 알아야 한다.” 26일 서울 광화문에서 만난 니콜라스 월터스토프(82) 예일대 신학대학 명예교수는 세월호 희생자를 추모하는 노란리본 아래서 힘줘 말했다.

이 시대 대표적인 기독교철학자인 그는 31년 전 등반사고로 아들을 잃은 상처를 간직하고 있다. 그 체험을 담아 쓴 <나는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습니다>의 저자로도 유명하다.

“미국에서도 고통을 당할 때 고통을 빨리 털어내야 한다는 생각이 팽배하다. 그러나 고통을 떨쳐내버리는 게 불가능하다. 그것을 안고 갈 수 밖에 없다. 남들이 보기엔 슬픔을 계속 갖고 있는 것이 비합리적이고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전혀 아니다. 화가 나면 때리고, 두려우면 도망치면 되지만,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는 사랑하는 만큼 슬플 수 밖에 없다.”

그는 “사랑하는 사람이 죽으면 가슴에 구멍이 뻥 뚫려버리기 때문에 그런 채로 살아가는 게 굉장히 고통스러운 일이니, 괜찮다고 얘기하지 말고 그 분들이 앉은 슬픔의 벤치에 함께 앉아 슬퍼하라”고 권했다. 그는 책도 위로도 별 도움이 안됐던, 아픈 경험을 더 들려주었다.

“서점에 가니, 슬픔을 극복하는 7단계 전략이니, 9단계 전략이니 하는 책이 많았다. 그런데 그 책들은 온통 나에 대해서만 얘기해 아무런 도움이 안됐다. 죽어버린 사람은 내가 아니라 내 아들이었다. 내가 관심 있는 사람은 내가 아니라 죽은 내 아들이었다.”

그는 “그때까지 종교란 답을 주고, 삶의 의문에 대해 답을 찾아가는 것이 종교적인 삶이라고 생각했지만 사고 이후 어떤 대답도 찾을 수 없었다”며 “인간이란 종교적으로 철학적으로도 대답 없는 질문과 함께 살아가지 않으면 안되는 존재”라고 말했다.

“자녀가 몇명이냐”는 물음에 그는 “그 질문을 받을 때마다 다시 고통스러워졌다”고 고백했다. ‘(사고 당한 아이를 빼고) 4명이라고 답해야 할지, 5명이라고 답해야 할지 몰라서’였단다. 그는 “사람들이 ‘자식이 4명이나 더 있지 않느냐’고 했지만 위로가 아니라 더 큰 고통을 가져다 주었다”며 “자식은 가게에서 아무때나 구입할 수 있는 구슬이 아니다”고 말했다.

31년전 사고로 아들 잃은 경험 
“세월호 가족 슬플 수밖에 없어 
그분들과 함께 앉아 슬퍼해야” 
‘믿기만 하면 천국 간다’는 잘못 
사회 정의 책임지는 게 기독교

한국 최초의 선교사 가운데 한 명인 언더우드가 설립한 새문안교회와 언더우드의 모교인 뉴브런스윅신학교가 공동으로 24~25일 연 언더우드국제심포지엄의 주강사로 초빙받은 그는 ‘예배’에 대해 새문안교회에서 강의했다. “교회 예배가 기쁨의 찬양 일변도로 갈 때 신자들의 삶과 연관성을 찾기 어렵게 될 수도 있다”며 “십자가의 고통에 대한 탄식기도와 이웃의 고통에 대한 중보기도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충고했다.

그는 강의에서 ‘예배의 주최는 당회’라고 했다. 그러면서 “교회의 권한이 목회자 한명에게 집중될 때 부패할 수 밖에 없다”면서 “개혁교회라면 교회의 모든 회중들이 (목사에게만 맡기지 않고) 그들의 책임을 다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에서 구원파뿐 아니라 대부분의 개신교인들이 ‘한번 구원 받으면 영원히 구원 받는다’는 구원관을 믿고 있다는 것과 관련해 “미국에도 이런 그룹들이 있는데, ‘믿기만 하면 천국 간다’는 건 심각하게 잘못된 견해다. 사회에 대한 정의와 평화 책임을 져야하는 게 기독교의 본질이다”고 밝혔다. 그는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의 저자답게 명쾌한 설명을 덧붙였다.

“(한국상황은 자세히 모르지만)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보니, 개혁교회라의 간판을 달고 있어도 심각하게 왜곡돼 있었다. 칼빈은 권력을 쟁취하기보다 벗어나기를 원했다. 17세기 칼빈의 개혁교회가 추구한 것은 평등이었다.”

그는 ‘정의가 왜 가장 중요한’가’에 대해 “인간의 존엄을 지키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그는 정의와 평등 없이 자유만을 부르짓는 것은 ‘사자와 독수리에게 아무나 잡아먹을 수 있는 자유를 주는 것,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고 강조했다.

글·사진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Studying > 사회학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 자유학년제, 모두에게 주어져야 할 시간  (0) 2015.04.05
스노비즘(snobbism)  (0) 2015.02.16
캐쉬카우  (0) 2015.01.19
플리바게닝  (0) 2014.11.20
리니언시 제도  (0) 2014.11.20
: